통계분석 - 탐색적 분석
1. 현황분석
2. 지역입지 지수분석
1.
전국 체력단련장업 인허가, 크로스핏 인허가 그래프 현황분석
“인허가 체력단련장업.xlsx” 분석 결과 일부
-TAM(Total Addressable Market)인 체력단련장업 시장의 크기(오른쪽 그래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크로스핏 시장(왼쪽 그래프)은 그 비중이 미미하나, 크로스핏 시장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2.
전국 크로스핏 센터 현황 분석
지역별 크로스핏 센터 현황
•
부산지역 구별 입지선정 요소 분석
입지 선정 시 고려요소들 : (1) 인구수, (2) 출퇴근 유동인구, (3) 평균 소득, (4) 운동인구 비율, (5) 사설 스포츠센터 이용
-카카오맵을 기준으로 전국에 운영 중인 크로스핏 센터 현황을 파악해보면, 전체 크로스핏 센터는 수도권에 편중되어 있다. 그러나 단위 인구당 센터수를 보면, 부산에는 전국 평균 대비 많은 수의 크로스핏 센터가 있다. 따라서, 부산에 센터를 오픈하려면 섬세한 상권분석이 필요하다.
-부산광역시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하여, 구·군별 거주인구, 출·퇴근 시간 유동인구, 평균 소득 등의 공공데이터를 얻었고, 2020년 부산시 사회조사 보고서를 통해 각 구·군별 운동인구 비율과 사설 스포츠센터 이용률 등의 데이터를 얻어 상권을 분석함
통계분석 - 시각화분석
1. 시계열시각화(선그래프)
2. 공간분석
1.
네이버 데이터랩을 이용한 네이버의 크로스핏 검색량 시각화 분석
네이버데이터랩 활용(2016.01.01~2021.09.05)
•
네이버 검색량을 성별로 나누어 시각화 분석
: 네이버랩데이터 활용(2016.01.01~2021.09.05)
-남/여의 추이 변화는 비슷함
-검색량이 남자가 여자보다 많음
•
네이버 검색량을 성별, 연령대로 나누어 시각화 분석
네이버랩데이터 활용(2016.01.01~2021.09.05)
-크로스핏이라는 운동이 남성들에 비해 여성들에게 덜 알려져 있어 여성들의 유입 가능성이 높음
-여성들 중에서도 40대가 가장 크로스핏에 관심이 많아 주요 타겟층으로 삼음
2.
지역입지 공간 시각화
-각각의 고려 요소들을 1위부터 16위까지 랭킹을 내어 16점부터 1점까지 부여한 뒤, 각각을 합산하여 부산 내 입지 지수를 내었다. 해운대구, 부산진구, 동래구, 수영구, 사하구 순으로 입지 지수가 높게 나왔다